도입의 필요성
- 필수 감사 절차 등에 대한 감사문서(감사조서)의 누락 가능성
- 각 단계별 필수 감사 절차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움
- 수작업에 의한 감사문서의 완전성 검토 → 필수 감사문서의 누락 가능성 존재 → 소송 및 감리에 대응하기 어려움
(예) 감사 계약 단계에서 작성되어야 할 계약전 위험 평가표 등이 적시에 작성되었는지 확인 방법 - 거래중심 감사접근법 → 감사의 효과성 및 효율성 저하
- 위험평가 접근법 대비 → 위험의 낮은 회사 : 효율성 저하, 높은 감사비용
- 위험평가 접근법 대비 → 위험이 높은 회사 : 효과성 저하, 감사실패
- 최종 감사파일의 취합 완료 기한 준수 여부 어려움
- 기준서에 명시된 사항임에도 불구, 강제하거나 확인하기 어려움
- 취합 완료 기한 이후의 감사파일에 대한 수정, 삭제 등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
→ 소송 및 감리에 대응하기 어려움 - 감사 품질의 유지 능력
- 각 감사문서에 대한 적절한 리뷰, 파트너 승인이 적시에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어려움
→ 일정 수준의 감사 품질을 유지하는 데 실패 가능성 증가
목적
시스템 구성